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삼성전자의 50주년, 흑백TV 기업에서 가전·무선·반도체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상태바
삼성전자의 50주년, 흑백TV 기업에서 가전·무선·반도체 글로벌 1위 기업으로
  • 이슬기 기자
  • 승인 2019.10.31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성장 산업으로 초일류·초격차의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
 

[경인경제 이슬기 기자] 삼성전자의 50주년, 흑백TV 기업에서 가전·무선·반도체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삼성전자가 내달 1일 창립 50주년을 맞는다. 50년 전 흑백 TV를 만들던 한 회사가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가전부터 휴대전화, 반도체 등 현재 12개 분야에서 세계 1위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성장 동력으로는 반도체가 가장 큰 역할을 했다.

삼성전자는 0.35 미크론의 초미세 가공기술을 적용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64메가 D램을 1992년 개발했다. 이듬해인 1993년 곧바로 D램 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른 후 27년 연속 1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기준 D램 시장 점유율은 42.8%(IHS마킷)이었다.

낸드플래시도 2002년부터 17년 연속, SSD(Solid State Drive·반도체를 이용한 정보 저장장치)는 2006년부터 13년 연속 1위다.

이외에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전환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반도체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는 17년 연속, 스마트카드 IC는 13년 연속 세계 1위라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회사의 사업 근간인 TV·가전, 휴대전화 스마트폰 역시 정상의 자리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반도체 불황과 일본 수출규제, 국정농단 재판이 겹쳐 50주년 기념식은 조용하게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30일 재계에 따르면 내달 1일 본사가 있는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에서 김기남 대표이사 부회장 주재로 임직원과 50회 창립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1969년 1월 13일 '삼성전자공업㈜'으로 출발했지만, '삼성 반도체 신화'가 시작된 삼성반도체통신 합병일인 1988년 11월 1일을 창립 기념일로 바꿨다.

이병철 선대회장이 설립한 삼성전자공업은 종업원 36명에 자본금 3억3천만원으로 첫해 매출은 3천700만원이었다. 삼성산요전기 흑백TV를 파나마에 처음 수출하고, 내수용 흑백TV를 생산한 1972년의 매출액도 18억4천만원 정도였다. 하지만 작년 매출액은 243조7천억원으로 첫 수출 이후 외형은 13만배로 성장했다.

본사 기준 임직원 수는 첫해 36명에서 1980년 9천367명, 1990년 4만3천455명, 2000년 6만1천35명, 2008년 8만4천462명, 2018년 10만3천11명 등으로 지금은 국내 최다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가 단행한 시설 투자는 1998년 6조9천억원 규모에서 2010년 21조6천억원, 2018년 29조4천억원 등으로 대폭 늘었고, 연구개발(R&D) 투자 역시 2008년 6조9천억원에서 지난해 18조6천원으로 10년 만에 3배 규모가 됐다.

삼성전자라는 브랜드의 가치는 2000년 52억 달러(43위)에서 2010년 195억 달러(19위), 올해 611억 달러(6위)로 수직 상승세를 보였다.


삼성전자의 성장 기반에는 크게 오너 경영인의 두 선언이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이병철 선대회장이 1983년 2월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 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발표한 '도쿄 선언'을 계기로 반도체 부문은 빠른 발전을 이뤄냈다.

특히 세계 D램 시장이 최악의 불황기를 맞은 1986년 이병철 선대회장은 3번째 생산라인 착공을 서두르라고 지시했으며 3년 뒤 D램 시장의 대호황으로 과감한 선제 투자가 빛을 발했다.

1987년 경영권을 물려받은 이건희 회장은 1993년에 밝힌 '프랑크푸르트 선언'으로 '신경영' 시대를 열었다. 당시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경영진을 소집하고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꿔라"며 고강도 혁신을 주문했다.

이 선언 이듬해인 1994년 첫 휴대전화로 '국민 휴대폰'을 탄생시켜 '애니콜 신화'를 쓰기 시작했고, 스마트폰 갤럭시 성공의 기반이 됐다.

반도체 역시 1989년까지는 D램 시장에서 일본 도시바와 NEC, 미국 텍사스인스트루먼트에 이어 4위에 머물렀지만, 1992년 세계 최초로 64MB D램을 개발하고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에 올라섰다.

삼성전자는 D램 세계시장에서 40%가 넘는 점유율로 27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으며 2017년부터는 미국 인텔을 제치고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더한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도 왕좌에 올랐다.

삼성전자의 이런 성장은 삼성그룹의 사업군에도 변화를 불러왔다. 방산과 화학 등 이익을 내는 사업도 재편해 주력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올리고, 신산업 투자 확대에 전념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은 올해 시스템 반도체 세계 1위를 목표로 내건 '반도체 비전 2030'을 내놨다.

이 부회장은 하반기에만 일본 출장, 사업장별 현장 방문,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 접견, 인도 출장 등을 이어오며 현장 경영 행보를 다져왔다.


이 밖에 재판장이 지적한 삼성 내부 실효적인 준법 감시제도 미비, 일감 몰아주기와 같은 재벌 총수의 불공정 경쟁 등에 대한 대책도 마련될지 주목된다.

또한, 다음 50년의 동력으로 5G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을 미래성장 산업으로 선정해 투자를 본격화하는 등 '100년 기업'을 향한 삼성전자의 새로운 도전이 시작됐다.

김기남 대표는 "지난 50년 동안은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세계적 기업으로 거듭났다면 이제 다가올 50년에 초일류·초격차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