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건강정보] 염증성 장질환 정보! 무분별한 인터넷 정보 보다는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상태바
[건강정보] 염증성 장질환 정보! 무분별한 인터넷 정보 보다는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경인경제
  • 승인 2018.02.01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
[경인경제] [건강정보] 염증성 장질환 정보! 무분별한 인터넷 정보 보다는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스트레스 장염, 세균성 장염, 염증성 장염 등 다양한 질병명이 우리 주위에 혼재 되어있습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인터넷 세상이 사람들의 주 활동무대가 된 후 유용한 정보를 보다 빠르게 습득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중 정확한 정보를 걸러내기란 쉽지 않아졌습니다. 때문에 부정확한 정보들에 의해 잘못된 지식을 쉽게 가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건강정보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건강정보들로 인해 오히려 삶의 질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평생 관리해야 하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에게는 올바른 지식이 삶의 질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병원에서는 환자의 염증성 장질환 지식 정도의 평가를 해오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존 평가지표가 만들어진지 20년이 다 되어가는 데다 영국에서 들여온 번역본이라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에 서울아산병원 양석균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윤혁교수 연구가 새로운 평가도구 IBO-KNOW를 개발했습니다.

유명 방송인의 질환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크론병 등은 '염증성 장질환(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에 속합니다.

장관 내에 비정상적인 염증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괴로운 질병입니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아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 분류돼 있고, 완치보다는 증상과 염증의 조절 및 합병증 예방이 치료의 주된 목적입니다.

그렇지만 치료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은 예방이고 환자의 올바른 지식에서 나오는 '건강한 습관'은 질병의 악화를 막고 삶의 질을 높일 수있습니다.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회피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특정 음식(커피, 동물성 지방 등)이 실제로는 질환 악화와 관례가 없었던 사례 등을 보면 잘못된 정보가 화자의 삶의 질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염증성 장질환으로 진단된 환자에 대해서는 질환에 대해 얼마나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해 향후 치료 및 교육에 활용하고 있는데, 기존 병가 도구(CCKNOW; Crohn’s and Colitis Knowledge)는 1999년에 개발돼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는 데다 영국에서 들여온 번역본이라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이에 서울아산병원 양석균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윤혁 교수 공동연구팀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최신 의학 정보를 반영하고 정확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도구 ‘IBD-KNOW’를 개발하고 본격 임상 적용에 나섰습니다.

연구팀이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200명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크론병 환자 120명, 궤양성 대장염 환자 80명)에 기존 평가도구와 새로 개발된 ‘IBD-KNOW’를 모두 적용한 경과, 환자들이 새롱누 평가도구에서 보다 더 정확한 양질의 답변을 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환자에게 보다 이해하기 쉬운 용어와 문장의 사용, 답변 문항의 단순화 등에 따른 것으로, 환자의 지환에 대한 지식정도 파악이 유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새로운 평가도구에는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분야별로 각각 평가할 수 있고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되어 강조되고 있는 예방접종 등 최신 치료 경향과 관련된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향후 질환에 대한 개별 환자 맞춤형 교육 등에 있어서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염증성 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임에도 전체 정답률은 55.7%에 불과했는데, 이는 의사 등 전문가 의견보다 인터넷 등 부정한 정보다 많은 출처를 우선하는데 원인이 있을 수 있어 정보의 선택 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위에 표를 보면 의사에게 정보를 얻는다는 사람이 77%로 가장 많았지만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사람역시 72.5%로 중복응답이 가능한 조사방법을 고려하면 의사에게 정보를 얻는 만큼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번 연구의 제 1저자인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는 "새로 개발된 평가 도구는 기존 도구보다 사용이 더 편하고 정확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임상 활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며, "한글판과 함께 개발돼 미국에서 연구가 진행 중인 영문판 검증이 끝나면 한국이 개발한 평가 도구를 세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스빈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과 관련된 궁금증이 있을 때는 광고와 잘못된 정보가 많은 인터넷을 검색하기 보다는 전문가와 상의할 것을 추천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