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분기 현황과 3분기 전망

산업연구원(KIET 원장 유병규)은 지난 2002년부터 국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분기별 ‘제조업 경기조사’(현 분기 평가 및 다음 분기 전망)를 수행, 경기실사지수(BSI)를 집계·발표(국가승인통계, 승인번호 제11510호)했다.
2016년 2분기 조사는 2016년 6월 1일부터 6월 29일 실시했으며, 국내 약 462개의 제조업체들이 응답했다.
조사 항목은 산업별 시황과 개별 기업들의 경영 실적(매출, 국내시장출하, 수출, 경상이익) 및 경영 활동(재고, 설비투자, 설비가동률, 고용), 외부 여건(원자재가격, 자금사정, 제품가격) 등이다.
항목별 응답 결과는 0~200의 범위에서 지수(BSI)로 산출, 100(전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분기 대비 증가(개선)를,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를 의미한다.
▶ 2016년 2분기 제조업 현황 : 시황(90) 및 매출(94) BSI 전분기(시황 77, 매출 75)보다 큰 폭 상승
국내 제조업의 2016년 2분기 현황은 시황(90)과 매출(94) BSI가 여전히 기준값(100)을 밑돌지만, 전분기보다는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수출(95)이 내수(92)보다 약간 더 높지만, 전분기 대비 기준으로는 내수(+15)와 수출(+10)이 모두 두 자릿수 상승했다.
설비투자(98)와 고용(95)은 전분기(96과 94)와 비슷한 수준이고, 경상이익(90)과 자금사정(88)은 전분기보다 약간 더 상승했다.
▶ 2016. 3분기 제조업 전망 : 시황 및 매출 전망 BSI 모두 100 하회, 전분기 대비 하락
2016년 3분기 전망은 시황(93)과 매출(97) 전망 BSI가 기준값(100)에도 여전히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95)와 수출(98) 전망치가 모두 전분기 수준(각각 98과 99)을 약간 밑돌고, 설비투자(97)와 고용(96)도 100을 동반 하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 주요 분류별 조사 결과 : 2분기 매출 ICT(정보통신기술, 이하 ICT)산업과 대기업만 100 회복, 3분기 매출 전망은 ICT 호조, 경공업 부진
2016년 2분기 매출 현황 BSI는 ICT산업(100)과 대기업(100)만이 100을 회복하고, 나머지 그룹들은 100 하회 수준을 지속했다.
ICT산업(100)은 2015년 1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최고치로서 전분기(72)의 침체를 빠르게 벗어나고, 중화학공업(92)과 경공업(96)도 여전히 100 하회 수준이나, 전분기보다는 상당 폭 상승,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100)이 중소기업(93)보다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3분기 매출 전망은 ICT산업(106)을 제외하고는 대다수 그룹들이 다시 100을 밑돌면서 다소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ICT산업(106)은 전분기에 이어 추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4분기 만에 100 상회 수준을 기록한 반면, 중화학공업(94)과 경공업(93)은 100을 여전히 웃돌면서 하락세로 전환, 대기업(99)과 중소기업(97)도 전분기와 달리 100을 약간 밑돌면서 좀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 주요 업종별 조사 결과 : 2분기 매출 전자·정밀기기·화학 100 상회, 조선및기타운송·철강금속 부진, 3분기 매출 전망 전자·전기기계·정밀기기 호조, 조선및기타운송 부진 심화
2016년 2분기 매출 현황 BSI는 전자(106)와 정밀기기(105), 화학(103) 등이 100을 웃돌면서 전분기보다 비교적 큰 폭 상승한 반면, 조선·기타운송(79)과 철강금속(83) 등은 부진했다.
3분기 매출 전망은 전자(111), 전기기계(107), 정밀기기(105) 등이 낙관적인 반면, 조선·기타운송(73)·철강금속(82)은 부진이 지속 될 것으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경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