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는 효율적인 지하수 활용과 보전관리를 위해 인천광역시 옹진군 지역을 대상으로 2025년 지하수자원관리사업에 착수하였다.
지하수자원관리사업은 농어촌정비법 및 지하수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농어촌지역의 지하수 개발 및 이용 현황, 수질·수량 분석 등을 통하여 지하수오염과 고갈현상을 예방하고, 난개발과 지하수오염을 방지하고자 시행하는 사업이다.
2004년 화성시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경기·인천지역 내 총 53개 용수구역 중 49개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올해 옹진군 영흥면 및 자월면을 대상으로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본 사업의 성과물은 지하수정보공개시스템인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https://www.groundwater.or.kr)’을 통해 공개된다. 또한 경기지역 141개 농어촌지하수관측망 자료도 제공되어 내륙 및 해안·도서지역의 실시간 지하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공사는 2025년부터 지하수 후속사업으로 시설재배단지의 지하수 고갈, 도서·산간지역의 국지적 가뭄 등 기후위기 대비 안정적 용수확보를 위하여 지하수댐·인공함양 등 순환형 수자원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및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김종성 경기지역본부장은 “급격한 기후변화 시기에 물 부족·지하수 오염 등 영농환경의 위기 요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농어촌지하수의 지속 가능한 개발·이용 방안 구축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