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와 국민지원금 방향은 같고, 방법상에 차이일 뿐”
대권 행보에 대해 “개인 대권을 위함이 아닌 정권교체를 위한 행보”
尹 정부 역사왜곡 비판… “경기도가 역사 지키기 나서야”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전 국민 25만원 민생지원금 지급’과 관련해 “전 국민에게 25만 원을 지원하는 것보단 어렵고 힘든 계층에 촘촘하게 지원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11일 MBC 라디오 ‘김종배 시선집중’에 전화인터뷰로 출연해 “지원금은 복지 대책이라기보단 경기 활성화 대책이다”라며 “상위 20%나 30%를 제외한 소비 성향이 높은 중산층과 서민에게 지급하는 것이 소비 진작에도 좋고 경기를 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민생회복지원금을 두고 당내에서 큰 이견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여당은 처음부터 이 민생회복지원금을 반대했었는데 당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처음부터 시종일관 이 민생회복지금을 저희는 주장을 해왔다”며 “그리고 이재명 대표께서도 지난 5월 최고위원회나 또는 대통령이나 여당 대표 만날 적에도 상당히 신축적인 입장을 표명하신 걸로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볼 적에는 크게 이견이 있을 사안은 아니고 또 우리 당내에서도 이 정도 가지고 정책 토론을 벌이는 것은 굉장히 생산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표와 대립각을 세웠다’라는 언론의 표현에 대해서는 “같은 방향 하에서의 방법 차이일 뿐 각을 세울 일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며 “민주당에서 이런 정책토론을 활발하게 하면서 국민들에게 좋은 모양을 보여주는 것이 수권정당으로 가는 길이라고 확신한다”라고 생각을 밝혔다.
또 “비명이다, 친명이다, 반명이다, 저는 그런 거 별로 관심 없고 잘 알지도 못하고 제가 경기도정하면서 우리 경기도 일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만한 분들을 모시려고 애를 썼을 뿐”이라고 답했다.
대권 도전에 관한 질문에선 임기가 2년이나 남은 만큼 산적한 일도 많고 지금 개인 대권 행보에는 관심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민주당이 유능한 민주당으로서 이 정권교체를 이루기 위해서 하는 그런 데서의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면 해야 되는 것이고, 우선 저는 지사로서 지금 산적한 경기도 문제, 또 제가 했던 공약의 실천, 이런 쪽에 지금 주력을 하고 있다”라고 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의 역사왜곡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윤석열 정부가 지금 역사지우기를 하고 있다”며 “지금 여러 가지 둘로 찢어진 광복절 행사라든지 또는 뉴라이트 인사라든지 하는 걸 봤을 적에 대통령이 과연 그 헌법을 수호 할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경기도라도 나서 역사 지키기 역사바로세우기 하겠다는 뜻으로 저희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대란에 대해서는 “아주대 응급실 방문을 해서 지원을 결정했고 아주대 같은 경우에 경기도 중증 응급환자 25%를 감당하고 있다”며 “애초부터 독재적이고 비민주적인 발상으로 밀어붙일 일이 아니고 다양한 의견을 듣고 사회적 합의를 유도해야 되는데 이제 와서 지금 그런 걸 한다는 것 자체가 순서가 크게 잘못됐고, 또 지금 의사협회나 의료계보고 대안을 가져오라는 얘기하고 있는데 이 문제를 묶은 사람이 풀어야한다. 즉 대통령이 결자해지해야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