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건강정보] 감기에 걸렸을 때 항생제를 먹어야 하나요? - 감기에 항생제 올바른 약 복용방법
상태바
[건강정보] 감기에 걸렸을 때 항생제를 먹어야 하나요? - 감기에 항생제 올바른 약 복용방법
  • 경인경제
  • 승인 2018.03.08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홍빈 교수
[경인경제] [건강정보] 감기에 걸렸을 때 항생제를 먹어야 하나요? - 감기에 항생제 올바른 약 복용방법


항생제의 "항생(抗生)”이란 “공생(共生)"의 반대말로 한쪽 미생물이 다른 쪽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처음 항생제가 개발되었던 당시에는 주로 미생물을 이용한 항생물질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미생물 및 이의 유래물 이외에도 여러가지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항생제는 세균, 곰팡이(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에 효과가 있는 화학물질을 지칭하며, 원칙적으로는 항미생물제가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항미생물제는 세균에 효과가 있는 향균제, 곰팡이균에 효과가 있는 항진균제,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항바이러스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생제의 남용, 내성균 문제를 논할 때에는 좁은 의미의 항미생물제, 즉 세균에 효과가 있는 향균제만을 이야기 합니다.


Q. 감기에 걸렸을 때 항생제를 먹어야 하나요?

항생제는 대부분 세균을 죽이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약입니다. 바이러스나 곰팡이, 기생충에 듣는 약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항생제는 향균제, 즉 세균을 죽이는 약입니다. 바이러스에 듣는 항생제는 많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치료를 요하는 바이러스도 있지만, 대다수의 바이러스는 특별한 치료 없이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감기(상기도 감염증)입니다.

감기는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가 주 원인이며, 세균감염 때문인 경우는 흔치 않다. 항생제는 세균 이외의 감염증, 즉 바이러스가 주 원인인 감기에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감기에 항생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상기도 감염이라도 세균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하지만, 이는 극히 일부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단순 감기라면 증상에 맞춰 치료하면서 경과에 따라 항생제가 필요할 지 전문가의 판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항생제 복용중에 증상이 호전되면 중단해도 되나요?

세균 감염이 의심되어 항생제 처방을 받았다면 정해진 용법에 따라 정확한 기간 동안 치료해야 합니다. 세균 감염 때문에 생긴 대부분의 증상은 항생제 치료 후 수일 내에 좋아지지만,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감염증을 일으킨 세균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좋아졌다고 자의로 항생제를 중간에 끊는 일이 반복되면 항생제에 노출되었던 세균이 살아남기 위해 내성을 획득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생제 내성을 막기 위한 올바른 사용 방법

1. 세균감염이 아니라면 항생제를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2. 세균감염이 의심되어 항생제를 처방을 받았다면 의사가 지정한 용법과 용량을 준수합니다.

3. 항생제를 충분히 복용해 이미 세균감염이 해결됐다는 전문가의 판단이 있다면, 더 먹으면 좋아질 것이라는 생각으로 불필요하게 더 요구하거나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4. 세균감염이나 미생물에 대한 노출을 막는다면 당연히 항생제 투약을 피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손위생, 기본 위생수칙, 기본적인 건강 유지 방법에 더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