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수출 빅데이터로 본 한국 산업의 경쟁력
상태바
수출 빅데이터로 본 한국 산업의 경쟁력
  • 이승수 기자
  • 승인 2017.04.06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순위 변화(1995년과 2015년)
[경인경제 이승수 기자] 수출 빅데이터로 본 한국 산업의 경쟁력


-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산업경쟁력 지수, 16위에서 13위로 상승

- 미래 산업의 성장잠재력을 가늠하는 산업응집력 지수, 21위에서 25위로 하락

- 중국 등 후발신흥국의 추격으로 산업고도화와 탈공업화가 동시에 진행된 결과

-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균형 있는 산업발전을 위한 산업생태계 정책 추진해야


지난 20년(1995년-2015년)간의 수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 지수는 16위에서 13위로 올라섰으나 성장잠재력을 판단할 수 있는 산업응집력 지수가 21위에서 25위로 하락하여 산업생태계의 파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산업연구원(KIET, 원장 유병규)이 3월 23일 발표한 ‘수출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 산업의 경쟁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복합성(기술력)이 높은 품목의 집약적 성장에 성공했으나, 유망성이 높은 상품으로의 확장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산업기반의 건실화를 위해서는 키가 큰 나무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풍성하게 자라는 생태계를 가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업연구원 윤우진 선임연구위원은 “산업생태계의 건실화를 위해 국내외에서 창업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역량을 갖춘 인재를 미래의 기업가로 양성하는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고, 기업 역동성 유지를 위해 산업생태계를 파괴하는 좀비기업의 퇴출을 촉진하고 신생기업의 도전을 장려하는 기업정책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국, 경쟁력 있는 수출품목 수로 계산한 산업경쟁력 취약

한국과 미국의 경쟁력 우세 품목의 비중은 각각 6.0%와 22.1%로 미국이 커다란 우위를 차지했으며 특히, 미국은 고숙련기술과 중숙련기술 상품그룹에서 한국에 비하여 절대적인 우위를 유지했다.


▶ 한국의 산업경쟁력 지수, 1995년 16위에서 2015년 13위로 상승

산업경쟁력 지수는 현재의 경쟁력 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 볼 수 있으며 한국은 16위에서 13위로 순위가 약간 상승하여 여전히 20위권 안에 머무르는 모습이고 중국은 20위에서 일약 2위로 도약하여 산업강대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 한국의 산업응집력 지수, 1995년 21위에서 2015년 25위로 하락

산업응집력 지수는 미래의 산업발전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으며 한국의 산업응집력 지수는 21위에서 25위로 약간 하락하여 산업경쟁력 지수와는 어긋나는 방향으로 변화했고 이는 중국 등 후발신흥국의 추격으로 산업고도화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탈공업화로 인해 산업생태계의 입지가 좁아졌음을 의미한다.


▶ 균형 있는 산업발전을 도모하는 산업생태계 정책 추진해야

산업생태계는 개별업종이나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체 산업이 균형을 이루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지는 것이 중요 하다. 산업생태계의 건실화를 위해 국내외에서 창업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역량을 갖춘 인재를 미래의 기업가로 양성하는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고 기업 역동성 유지를 위해 산업생태계를 파괴하는 좀비기업의 퇴출을 촉진하고 신생기업의 도전을 장려하는 기업정책을 추진해야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