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아파트 전셋값 2년 9개월만에 하락세 멈춰
2019-09-05 이지안 기자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2017년 11월 말 이후 2년 9개월간 이어진 하락세를 멈췄다.
5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2일 조사 기준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재건축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 영향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며 대체로 보합 내지 하락했고, 최근 상승세를 보인 신축 등 일반 아파트는 매수·매도자간 희망 가격 격차가 커지고 있어 추격 매수는 줄어든 분위기"라고 말했다.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지난주 0.01%에서 금주 0.04%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 가운데 과천시는 지난주 0.40%에서 이번 주 0.24%로 상승폭이 다소 줄었으나 광명시는 일직동의 KTX 역세권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며 0.20% 올라 지난주(0.16%)보다 상승폭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성남 분당신도시(0.17%)와 구리시(0.03%), 용인 수지(0.17%), 용인 기흥(0.12%) 등지도 지난주에 비해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방 아파트값은 0.05% 떨어져 지난주(-0.07%)보다 하락폭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도 금주 0.01% 떨어져 2주 연속 낙폭이 줄었다.
대구(-0.01%)와 광주광역시(-0.02%)의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하락했으나 대전은 지난주(0.13%)보다 0.05%포인트 커진 0.18% 상승하며 강세가 지속됐다.
대전 서구(0.28%)는 정비사업 이주 등으로, 유성구(0.15%)는 하수종말처리장 이전 확정에 따른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다.
이번 주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2017년 11월27일(-0.01%) 이후 2년9개월 간 이어온 하락세를 멈추고 처음으로 보합 전환했다.
수도권의 전셋값이 지난주와 같은 0.04% 오르고, 지방 아파트 전셋값은 0.04% 내렸지만 지난주(-0.06%)보다 하락폭이 감소한 영향이다.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5% 올랐고 인천은 0.07% 올라 지난주(0.01%)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대전과 대구의 전셋값은 각각 0.08%, 0.04% 오르는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한 곳도 눈에 띈다.
세종의 전셋값은 지난주 -0.24%에서 금주 -0.01%로 낙폭이 크게 줄어드는 등 이사철을 맞아 저가의 전세 물건이 소화되면서 낙폭이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