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작년같은 폭염 가능성 낮아…"전력 수급 안정적"

2019-07-07     이지안 기자
[경인경제 이지안 기자] 올여름 작년같은 폭염 가능성 낮아…"전력 수급 안정적"

- 산업부, 평시·혹서로 나눠 전력수요 전망 "전력예비율 7.7∼9.9%"…
- 냉방용 바우처 첫 실시·아파트 노후변압기 교체지원 확대

올여름은 111년만의 폭염이었던 작년만큼 덥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측에 따라 전력 수급도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조정점검회의에 보고한 '하계 전력수급대책'에서 올여름 최대 전력수요를 기준전망으로 8천950만kW(킬로와트), 혹서전망으로는 9천130만kW로 각각 예상했다.

전력수요는 보통 기온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예상기온을 단일치로 전망할 경우 작년처럼 이상고온 가능성 때문에 전력수요 전망이 빗나갈 수 있어 올해부터는 아예 두 갈래로 전망을 나눠 예측도를 높였다.

이와 함께 이상고온 가능성을 반영한 혹서 전망은 평년보다 3.4도 높은 29.6도를 적용했다.

두 경우 모두 기온을 평년보다 높게 잡고 그에 따른 전력수요도 보수적으로 잡아 만약의 경우에 대비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기상청은 올여름 기온이 평년과 비슷할 확률을 40%, 평년보다 높아질 확률을 40%로 내다봤다.

하지만 올여름 전력수요가 더 높은 혹서 전망치(9천130만kW)도 작년 극심한 폭염 당시 최대전력수요 9천248만kW보다 118만kW(1.3%) 더 적은 것이다. 작년 여름 최대전력수요 당시 기온은 31.1도나 됐다.

올여름 전력수요가 가장 높은 피크시기 발전 공급능력은 9천833만kW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공급능력에서 최대전력수요를 뺀 예비력은 883만kW(기준전망·예비율 9.9%)나 703만kW(혹서전망·예비율 7.7%)로 추산된다. 작년 여름 최대전력수요 당시 예비력은 709만kW(예비율 7.7%)였다.

이번 대책은 이달부터 시행되는 여름철 누진제 개편안으로 인한 가격 인하 효과 등도 반영했다.

산업부는 이와 별도로 예상보다 더운 날씨나 발전소 불시정지, 송전선로 이상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 해 904만kW의 추가 예비자원도 확보해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