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기도 전역 휩쓸어 무대책이 대책

2016-12-15     전경만 기자
[경인경제 전경만 기자] AI 경기도 전역 휩쓸어 무대책이 대책


- 경기도 관계자 “살처분 더 늘어날 확률이 높아”

- 감염지역 주변 가금류 전량 광범위 살처분 계획

- H5N6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사례 있어 방역 당국 초긴장


경기도 관계자에 따르면 13일 하루 만에 경기도 관내 9개 지역 (여주 2곳, 용인 3곳, 포천 1곳, 안성 3곳)에 조류인플루엔자(이하 AI) 의심 신고가 접수 됐다. 이는 AI가 발병한 지난달 20일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이후 이틀 동안 경기도 전역에서 AI감염 의심 판정을 받은 농가가 또 다시 12곳이 더 늘어나 앞으로 확진 판정을 받을 경우 살처분 대상이 될 수 있는 가금류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지난 14일 오후 4시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은 포천시청 AI 방역대책 본부를 방문해 포천 지역의 AI 방역대책 상황을 실시간 점검했다.

홍윤식 장관은 이날 “이번 AI가 전염성이 강한 고병원성 H5N6형 바이러스인 만큼 신속한 대처만이 조기 종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며, “이번에 확실한 방역 활동을 실시하고, 문제점을 보완해 이러한 재난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선 지자체와 광역지자체, 중앙정부, 농가가 힘을 합쳐 체계적인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선 지자체에서는 가용한 인적·물적 자원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응태세를 갖춰야 함은 물론, 각 농가들이 책임감을 갖고 철저한 예찰활동과 방역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홍 장관은 특히 “무엇보다 긴밀한 정보 공유 체계를 유지해 농가와 지자체, 중앙정부, 유관기관이 신속한 상황 파악과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해당 기관 간 긴급대책회의를 수시로 열고 범정부적 통합대응시스템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또,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농림부, 안전처, 행자부 등 유관 부처가 유기적인 연계 해 적극 관심을 갖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시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남경필 지사는 “경기도에서는 현재 예비비를 선제적으로 지출해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고 투입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고, 방역인력의 피로도와 안전관리 차원에서 대체인력 확보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자체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들을 수렴, 검토해 확산을 막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포천시에는 총 225개 농가에서 1천14만여 마리의 가금류가 사육중이며, 지금까지 총 12건이 AI 확정 판정을 받아 총 128만여 마리를 매몰 처분했다. 현재 시에서는 거점 통제소 6곳, 이동 통제소 9곳을 운영 중이며, 1천여명의 인력 투입해 방역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역부족 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경기도에서는 지난 14일 까지 경기도 양주·포천·이천·안성·평택·화성·양평·용인·여주·김포 등 10개 시·군 모두 62개 농장의 가금류 720만 마리가 살처분 됐으며 앞으로도 살처분 가금류의 숫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경기도는 경기도 전역으로 AI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 주변의 전체 가금류를 살처분 하고 이를 정부가 전량 책임지는 방식의 광범위 살처분 계획도 정부에 건의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는 별도로 경기도 관계자들은 이번에 발생한 H5N6 조류인플루엔자가 중국에서 16명의 인체감염 사례가 발생함에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방역종사자들에 대한 교육도 강화 시키고 있다.

또 ‘AI 고위험군’은 발생농가의 농장주와 종사자, 살처분 투입인력과 장비기사, 현장지휘를 하는 대응요원으로 이들은 현장 노출 후 10일까지 보건소에서 기침, 콧물, 발열 등 이상증상에 대한 능동감시를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