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쓰레기 없는 경기도' 비전 선언
2016-06-02 김형천 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 시군이 2일 쓰레기 없는 경기도 만들기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천동현 경기도 의회 부의장, 안병용 의정부 시장, 김윤주 군포시장 등은 2일 광교호수공원 마당극장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원이 순환하는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경기도 비전’을 발표하고, 경기도를 자원이 순환하고 쓰레기가 없는 청정지역으로 만들기로 했다.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경기도'를 위해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1일 305톤→0톤) △재활용률 제고(58%→67%) △사업장 쓰레기 감량(1일 1만6000톤→1만5000톤) △자원순환문화 조성 등의 비전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이들 4가지 비전 실현할 12개 핵심과제를 선정했다.
도는 먼저 생활쓰레기 직매립제로화를 위해 현재 화성·오산, 과천·의왕 등 17개 시군이 공동 사용하는 7개 광역소각장을 9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수원, 부천, 용인, 과천, 광명 등 노후 소각시설에 대해선 대대적인 개보수를 추진한다.
단독주택지역의 원활한 자원 재활용품 수거를 위해 △농촌지역 공동집하장 △우리동네 수거함 등 5개 생활쓰레기 배출체계를 마련해 파주와 가평 등 13개 시군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자원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30개 생활자원회수센터 가운데 자동화되지 않는 22개소 중 9개소에 대해 우선 시설개선를 추진한다.
수원시 옛 서울대농생대 부지에 추진 중인 광역업사이클플라자를 올해 착공해 2017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업사이클은 ‘업그레이드(Upgrade)'와 '리사이클(Recycle·재활용)’의 합성어로 버려지는 물건에 예술적 가치를 더해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업장쓰레기 감량을 위해 도는 개별업체를 대상으로 쓰레기 재사용 등을 컨설팅해주는 기업코칭제를 도입하고, 각종 관급 공사시 천연골재 대신 순환골재의 사용을 확대하거나, 녹색제품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의 방안을 추진한다.
자원순화문화 조성을 위해 2020년까지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하는 자원순환시스템도 구축한다. 이에 따라 자원순환마을을 현재 55개에서 110개로 확대하고, 자원순환포럼 운영을 통해 민간과 기업, 시군이 공동참여하는 자원순환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경기도는 ‘Zero Waste 경기도 비전’ 달성시 폐기물 시설설치비와 시설운영비 등 1조5000억원의 예산 절감과 함께 일자리창출, 깨끗한 생활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비 등 부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이날 수원, 성남 등 쓰레기소각장을 갖고 있는 도내 23개 시장군수와 함께 ‘Zero Waste 경기도 비전’ 실천을 위한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 협약’을 체결했다.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은 수해, 화재, 고장, 보수 등으로 인해 소각장 가동이 멈췄거나 수도권매립지 매립이 불가능할 경우에 시·군간 협력을 통해 쓰레기를 공동 처리하는 협력체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