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섭 안성시의원 “안성시 가로지르는 송전선로 ‘포화상태’… 더이상은 안돼”
“송전탑 이미 350기, 신규 송전선로 설치시 700기…수용한계 넘어”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은 안성시를 가로지르는 신규 초고압 송전선로 설치 계획과 관련해 지난 8일, “더 이상은 안 된다”며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최 위원장은 “최근 산림청 산불예방종합상황실의 항공지도 모니터를 통해 안성 전역을 확인했을 때, 수백 개에 달하는 송전탑 아이콘이 도심과 산지, 농촌을 거미줄처럼 에워싸고 있었다”며, “이는 단순한 시각적 충격을 넘어, 안성시가 이미 전국 최고 수준의 송전선로 밀집 지역이라는 현실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 안성시에는 약 350기의 송전탑이 설치돼 있으며, 최근 한국전력이 추진 중인 3개의 신규 송전선로가 모두 안성시를 경유할 경우, 최대 350기 이상이 추가로 세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송전탑 수는 총 700기를 넘게 되며, 이는 “더는 전력 인프라가 아니라 지역 파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최 위원장은 “경부고속도로를 따라 남북으로, 서안성과 동안을 가로지르며 세워진 초고압 송전선로는 이미 시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전자파에 대한 건강 불안, 주거 환경 훼손, 경관 저해, 재산권 침해 등 복합적 피해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사업들이 추진될 때마다 시민들에게 사전 설명도, 동의 절차도, 실질적인 보상이나 대책도 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행정 방식에 시민들이 반복해서 좌절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계된 송전선로 추진 논의가 새롭게 불거진 데 대해 “시민들은 더는 침묵하지 않을 것이며, 분명히 말하고 있다. ‘더 이상은 안 된다’고”라고 강조했다.
그는 안성시가 이미 환경적·사회적 수용 능력의 한계를 초과했다고 보고 있다. 더는 ‘필요악’이라는 논리로 송전선로 추가 설치를 정당화할 수 없으며, 특정 지역에 지속적으로 전력 인프라 부담을 전가하는 국가 기간산업 중심주의는 설득력을 잃었다는 주장이다.
최 위원장은 “지방자치의 기본은 시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최우선에 두는 것”이라며, “더는 안성의 하늘과 땅을 가르는 초고압 철탑이 세워져선 안 된다”고 밝혔다. 또한 “안성시의회는 시민들과 끝까지 함께 싸워 나갈 것이며, 이제 안성시도 전력 인프라 불균형의 피해자로서 우선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