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교육지원청, 맞춤형 교육 실현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네트워크’구축
◦ 고교학점제 운영 내실화로 학생의 학습 선택권 강화 ◦ 고교학점제 네트워크 운영으로 지속적인 학교 교육과정 지원
2025-04-24 김철배 기자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교육장 김윤기)은 2025학년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에 따른 학생의 학습 선택권 확대 및 맞춤형 교육 실현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고교학점제 운영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매달 운영하고 있다.
평택교육지원청 업무 담당자 및 관내 교원들로 구성된 고교학점제 운영 네트워크에서는 ▲ 2022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의 이해 ▲ 고교학점제 선택 과목 확대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편제 ▲ 성취평가제 기반 과목별 논술형 평가 강화 ▲ 성취평가제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 학교주도 활동 시간 내실화 운영 ▲ 고교학점제 적용 학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및 관리 등의 주제로 매월 연수 및 워크숍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요구와 학교별 특색을 반영한 내실 있는 교육과정이 가능해질 것이다.
4월 24일(목)에는 온라인교육과정 중심거점센터에서 관내 교육과정 부장교사 중심으로 ‘교육과정부장 한해살이, 2022 개정 교육과정 편성(SLAT) 사례’ 등의 주제로 연수 및 워크숍을 가졌다. 또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경기이음온학교’에 대한 소개도 함께 이뤄져, 고교학점제 운영 확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평택교육지원청 서권호 교육국장은 “고교학점제 네트워크 운영으로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고, 성취평가제 및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를 통해 책임교육 체계를 강화하겠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