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인 부지사 “도를 넘은 경기도정 흔들기…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 그르칠까 걱정”
고영인 경제부지사, 10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관련 기자회견 개최 “일부 기초자치단체, 철도 관련 부정확한 정보 퍼뜨려 도민 불안 야기”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10일 오후 도청 브리핑룸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관련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지금은 힘을 모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더 많은 사업이 반영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며 “철도마저 정치화 해선 안된다. 도민들의 착시를 유발하는 행동을 즉각 중단해달라”고 밝혔다.
고영인 부지사는 “최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관련 경기도 일부 기초단체장의 근거 없는 비판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자 한다”라는 말과 함께 기자회견을 시작했다.
그는 “경기도는 제16호 경기도청원 도지사 답변을 비롯, 그동안 수 차례 국토부가 요구한 우선순위 노선 3개 선정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은 관련이 없다고 밝혀왔다”며, “40개 노선 중 3개만 찍으라는 국토부의 비현실적인 요구에 거절하는 방안까지 검토했지만, 전략적인 최소한의 대응을 해왔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고영인 부지사는 “이는 경기남부광역철도는 경기도내 다른 어떤 노선보다 정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며 “경기남부광역철도는 문제를 제기한 기초자치단체장의 주장처럼 경제성(B/C)가 높은 사업으로, 이미 민간투자자가 국토교통부에 사업의향서를 제출하는 등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고 국토교통부에서도 철도 민간투자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성남·용인·수원시에서 추진하던 서울3호선 연장 사업이 서울시 협의와 차량기지 이전 부지 확보 문제 등으로 좌초 위기에 빠져있던 2023년 2월. 이들 지자체와 ‘서울3호선 연장·경기남부광역철도’ 관련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최적의 노선(안)을 마련한 주체는 경기도가 주도한 실무협의회였다”며, “이 과정에서 마련된 노선(안)의 사업비 및 수요, 경제성 검토를 위한 용역은 수원시에서 뒷받침까지 해주었다.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추진한 주체는 경기도였다”고 강조했다.
고 부지사는 “최근 일부 기초자치단체에서 마치 우선순위에 들지 않으면 검토도 되지 않고 반영도 안된다는 것처럼 부정확한 주장을 퍼뜨리며 도민 여러분들께 불안을 야기하고 있으나, 그렇지 않다”며 “3차, 4차 계획에서도 각각 16개, 21개 계획이 반영된 바 있고, 이번 5차 계획도 상당수가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기초단체장들의 도를 넘은 경기도정 흔들기로 자칫 이 사업을 그르칠까 걱정”이라며 “여러 과장되고 왜곡된 주장으로 안정적으로 추진 중인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방해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경기남부광역철도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사업”이라며, “김동연 지사는 맹성규 국토위원장께도 적극적 추진을 위한 협의 요청과 의지를 전했고, 잘 해결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관계부처와 깊이 대화하고 있고, 매우 긍정적인 상황이다”고 밝혔다.
고영인 부지사는 “경기도가 책임지고 하겠다. 지금은 힘을 모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신규사업의 예산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더 많은 경기도 사업이 반영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기초자치단체장 여러분의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철도마저 정치화해선 안된다. 도민의 착시를 유발하는 행동을 즉각 중단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