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원 의원 ,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 사업 공모에 평택지제역이 최우수로 선정

2023-03-28     김철배 기자
평택지제역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 기본구상(안)[사진=홍기원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 국토교통위원회 , 평택갑 ) 의원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이하 대광위 ) 가 추진하는 ‘ 미래형 환승센터 (Maas Station)*’ 시범사업 공모에 평택지제역이 최우수사업 ** 으로 선정됐다고 28 일 밝혔다 .
※ MaaS(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 S/W) 와 Station( 물리적인 교통거점 , H/W) 의 합성어
※ 최우수 : 평택시 ( 평택지제역 ), 강릉시 ( 강릉역 ) / 우수 : 창원시 ( 마산역 ), 대전시 ( 대전역 

미래형 환승센터는 철도 · 버스를 연계한 기존의 환승센터에서 더 나아가 , 도심항공교통 (UAM), 자율주행차 , 전기 · 수소차 , 개인형 이동수단 (PM) 등 미래 모빌리티까지 연계한 환승센터를 말한다 .

대광위는 미래 모빌리티의 상용화 시점에 맞춰 모빌리티 간 연계환승이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래형 환승센터 계획을 추진해왔으며 , 미래형 환승센터의 선제적 구축을 위해 지난 12 월부터 시범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 한편 , 대광위는 이번 공모가 미래 모빌리티의 상용화 시기에 앞서 미래형 환승센터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라는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

홍기원 의원은 평택지제역이 경기 남부 광역교통의 거점으로서 기존의 전철과 SRT( 수서발 고속철도 ) 에 이어 수원발 KTX 가 정차하고 , 향후 GTX-A, C 노선도 연장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 . 아울러 홍 의원은 평택시에 반도체 · 수소 등 첨단산업단지가 입지해 교통 수요가 빠르게 커지고 있고 , 미래 교통을 이끌 잠재력도 풍부하여 환승센터로서 최적의 입지라고 말했다 . 한편 평택시는 평택지제역을 중심으로 인근 주거 · 산업단지 등을 연결하는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대광위는 공모 선정을 위해 교통 · 도시계획 · 건축 · 토목 등 다양한 분야의 외부전문가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했고 , 사업의 필요성과 기본구상 및 추진계획의 적절성 등을 서면평가 , 현장 실사 , PT( 프레젠테이션 ) 심사를 통해 공정하게 평가했고 밝혔다 .

평택지제역이 공모에 선정됨에 따라 평택시는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계획수립비를 지원받게 된다 .* 아울러 대광위는 지자체가 내실 있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교통 · 도시계획 ·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 총괄계획단 ’ 을 운영하여 전문 · 기술적 사항에 대한 자문을 상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
※ 국비 10 억원을 선정 4 개 지자체에 나누어 교부 ( 지자체는 지방비 50% 를 매칭하여 계획수립 )

한편 , 평택시의 기본계획이 타당성을 확보하는 경우 설계 · 공사 등 사업화 지원을 위한 「 제 4 차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기본계획 」 (`26~`30) 및 「 제 5 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 」 (`26~`30) 등 법정 계획에 반영도 적극 검토된다 .

홍기원 의원은 “ 평택지제역에 미래형 환승센터가 구축되면 여러 미래 모빌리티 간 환승을 원활히 함으로써 도시의 이동성을 강화하는 교통거점으로 발돋움할 것 ” 이라며 “ 앞으로 평택시가 경기 남부의 성장 거점이자 대중교통 중심개발의 핵심 거점으로서 운영되고 균형발전을 견인하는 핵심기반시설로 기능할 것 ” 이라고 말했다 .